728x90
반응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8XHk4/btrU1OEsZB6/nAyonguOr62k7FRVeIeGd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s7is/btrU44NpJfK/rztaggvTngsWnXTZeHqLA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B7Vu/btrU6Y7cPIi/TQlUktvJL6OwUVzJHfcJjK/img.png)
lower_bound, upper_bound 설명
https://develop-me-z.tistory.com/114
[C++] lower_bound, upper_bound (이진탐색)
헤더파일 #include lower_bound 찾으려는 value 값보다 같거나 큰 숫자가 배열에서 처음 등장하는 위치 리턴 사용 조건 : 탐색을 진행할 배열 또는 벡터가 오름차순 정렬되어 있어야 함 사용법 lower_bound(
develop-me-z.tistory.com
#include <bits/stdc++.h>
using namespace std;
int n, x;
vector<int> v;
//값이 [left_value, right_value]인 데이터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
int countByRange(vector<int>& v, int leftValue, int rightValue){
vector<int>::iterator rightIndex = upper_bound(v.begin(), v.end(), rightValue);
vector<int>::iterator leftIndex = lower_bound(v.begin(), v.end(), leftValue);
return rightIndex - leftIndex;
}
int main(void) {
ios::sync_with_stdio(0);
cin.tie(0);
// 데이터 개수 n, 찾고자 하는 값 x 입력받기
cin >> n >> x;
// 전체 데이터 입력 받기
for(int i=0; i<n; i++){
int temp;
cin >> temp;
v.push_back(temp);
}
// 값이 [x, x] 범위에 있는 데이터의 개수 계산
int count = countByRange(v, x, x);
// 값이 x인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
if(count == 0) cout << -1 << '\n';
// 값인 x가 존재한다면
else cout << count << '\n';
return 0;
}
728x90
반응형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/DFS/C++] 2667번 단지번호 붙이기 (0) | 2023.01.02 |
---|---|
[백준/이분탐색/C++] 1654번 랜선 자르기 (0) | 2023.01.01 |
[이코테/이진탐색/C++] 파라메트릭 서치/ 떡볶이 떡 만들기 (0) | 2023.01.01 |
[이코테/이진탐색/C++] 이진 탐색 알고리즘 (설명/시간복잡도/예시) (0) | 2023.01.01 |
[백준/BFS/C++] 11725번 트리의 부모 찾기 (0) | 2022.12.31 |